본문 바로가기
임신정보

아기 태동 언제부터? 태동이 느껴지지 않는 이유

by 해피쏘영 2023. 8. 18.

 

태동은 엄마가 처음으로 느낄 수 있는 것 입니다. 아기가 언제쯤 엄마에게 태동을 느껴줄 것 인지에 대한 기대감과 한번의 태동으로 기쁨을 느낄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아기의 태동이 느껴지지 않는다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. 아기의 태동은 언제 시작되는지 움직임이 없으면 왜 안좋은지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.

 

 

태동이란?

 태동은 임신 중 태아가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. 이 작은 생명이 어떻게 동하는지 느끼는 순간은 많은 임산부에게 아름다운 경험이며, 태아와의 실감있는 연결을 느낄 수 있는 순간 중 하나입니다. 태동은 태아의 신체가 발달하고 움직일 수 있을 때 나타나며, 임신의 다양한 단계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.

 태동을 느끼는 순간은 임산부와 태아 간의 소중한 소통을 가능하게 합니다. 태아의 움직임을 느끼며 임신을 더욱 현실적으로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, 이 작은 생명체와의 강한 연결을 느낄 수 있는 순간이기도 합니다.

 

 

태동 시작 시기

 태동의 시작시기는 여러 요인에 따라 개인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. 일반적으로 임신 초기부터 태동을 느낄 수 있는 시기는 임신 18주에서 25주 사이입니다. 그러나 이 기간은 단순한 규칙이 아니며, 다양한 변수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
 임신 초기 (최초 태동) 

  •  일반적으로 18주 이전에는 태동을 느끼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.
  •  이 시기에는 태아의 근육과 신경계가 형성되고 움직임이 시작되지만, 태아의 크기가 아직 매우 작기 때문입니다.
  •  초반에는 태아의 움직임을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, 초경량의 움직임이나 미세한 터치를 느낄 수도 있습니다.
  •  중기 (태동의 더 많은 감지):
  •  임신 18주부터 25주 사이에는 태아의 근육력과 움직임이 점차 강해지면서 태동을 느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.
  •  이 기간에는 가벼운 태동이 주로 나타나며, 부드럽고 나비 날개 터치와 같은 느낌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.

 

 후기 (강한 태동)

  •  임신이 진행되면서 태아의 크기와 움직임이 더욱 확실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.
  •  잠자리에 누워있을 때나 식사 후, 활동을 하거나 휴식을 취할 때 태아의 움직임을 더 쉽게 감지할 수 있습니다.
  •  이 기간에는 뚜렷한 태동뿐만 아니라 종종 발치 및 구르기와 같은 움직임도 느낄 수 있습니다.

 

 개인차 및 영향 요인

  •  개인마다 태동을 느끼는 시기와 방식은 다를 수 있습니다.
  •  첫 임신의 경우 태동을 느끼는 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.
  •  태아의 위치, 임신의 기간, 활동 수준, 자신의 체형 등도 태동을 느끼는 시기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

 

 

태동이 느껴지지 않는 이유

태동이 느껴지지 않는 이유로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. 개인의 차이도 있을 수 있다는 점 알고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

 태아가 잘 자라고 있을때 증상 

  • 1. 태아의 위치 : 태아가 자신의 위치에 따라 움직임이 느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. 만약 태아가 자신의 등쪽으로 움직이거나 자리 잡고 움직이지 않는다면, 태동을 느끼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.
  •  2. 체형과 배반의 위치 : 체형이나 배반의 위치도 태동을 느끼는 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 태아의 움직임이 체형이나 배반에 가려져서 느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.
  •  3. 태아의 활동 패턴 : 태아의 활동은 주기적일 수 있습니다. 태아가 잠들거나 휴식할 때에는 태동을 느끼지 못할 수 있습니다.
  •  4. 첫 임신 : 첫 임신일 경우 태동을 느끼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. 임신부가 태동을 정확히 식별하는 것이 처음에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.
  •  5. 태아의 크기 : 태아의 크기와 근육 발달에 따라서도 태동을 느끼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. 태아가 아직 작아서 미세한 움직임이나 뚜렷하지 않은 움직임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.
  •  6. 임신의 초기 단계 : 임신 초기에는 태아의 움직임이 작고 가벼워서 태동을 느끼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. 실제로 태동이 느껴지기 시작하는 시기는 개인차가 큽니다.
  •  7. 활동 또는 자세 : 임신부가 활동 중이거나 자세를 바꾸는 동안에는 태동을 느끼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.

 

 태동이 느껴지지 않을때 주의사항 

  •  1. 태동 중단 : 태동이 갑자기 중단된 경우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. 태동이 없다면 태아의 움직임 패턴이 변화했을 가능성이 있으며, 태아의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.
  •  2. 태동 감소 : 태동의 빈도가 이전보다 감소한 경우에도 주의가 필요합니다. 이는 태아의 건강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.
  •  3. 임신 중독증 : 일부 경우에는 임신 중독증 같은 합병증이 태동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. 이런 경우에는 임신 중독증의 진단과 관리가 중요합니다.
  •  4. 태아 발육 지연 : 만약 태아의 발육이나 개발이 지연된 경우에는 태동이 느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. 이는 태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이므로 의료 전문가와 상담이 필요합니다.
  •  5. 태아 이상 : 태아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태동을 느끼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. 이러한 상황에서는 태아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.
  •  6. 자가모니터링의 중요성 : 임신 중에는 태동을 자가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태동의 빈도, 세기, 패턴 등을 주시하며 일상적으로 태동을 느낄 수 있는지 확인하세요. 만약 갑작스런 변화가 있다면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기를 바랍니다.

 

 

<a href="https://kr.freepik.com/free-photo/pregnant-woman-with-a-fetal-doppler-listening-to-the-baby39s-heart-sitting_29567521.htm#page=4&query=%EC%B4%88%EC%9D%8C%ED%8C%8C&position=37&from_view=search&track=sph">작가 chandlervid85</a> 출처 Freepik